본문 바로가기
건강정보

암배아항원(CEA) 검사

by 삶도정 2024. 4. 22.
반응형

암배아항원(CEA) 검사는 특정 혈액 단백질인 CEA를 측정하는 검사입니다. 일반적으로 사람은 높은 수치의 CEA를 가지고 태어나서 나이가 들수록 감소하게 됩니다. 그러나 일부 유형의 암에서는 CEA가 증가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병원은 암 치료를 안내하거나 치료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CEA 검사를 할 수 있습니다.

암배아항원-CEA-검사

 

암배아항원(CEA) 검사

 

암배아항원(CEA) 검사는 CEA라고 불리는 특정 혈액 당단백질을 측정하는 검사입니다. CEA는 정상 세포나 암 세포에 의해 당분이 많이 첨가된 단백질을 의미합니다. 과학자들은 1968년 대장암으로 전이된 간 추출물과 정상적인 태아 소화관에서 추출물을 분리하면서 처음 CEA를 발견 했습니다. 모든 사람은 높은 수준의 CEA 단백질을 가지고 태어나고 나이가 들수록 감소하지만, 특정 유형의 암을 포함한 일부 질환을 가지고 있을 경우 혈중 CEA 수치를 증가 시킬 수 있습니다.

CEA는 때때로 종양 표지자 혹은 종양 항원이라고도 불립니다. 종양 표지자는 일부 암 세포가 만들어 체액으로 흘리는 물질입니다. 건강한 세포는 매우 낮은 수준의 종양 표지자를 만들 수 있으며, 건강한 사람들은 '정상' 수준의 종양 형성자를 가지고 있습니다.

 

암배아항원(CEA) 검사의 용도 및 시기

 

암배아항원(CEA) 검사는 암 여부를 진단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특정 유형의 암, 대장암 진단을 받은 환자들에게 사용됩니다. 또한 방광암, 유방암, 폐암, 난소암, 갑상선암 등 다양한 암을 진단하고 치료 및 후속 조치를 할 때 다른 검사와 함께 암배아항원 검사를 합니다.

 

암배아항원(CEA) 검사는 이미 암에 걸린 환자들을 대상으로 암배아항원 검사를 통해 다음과 같은 중요한 정보들을 얻을 수 있습니다.

  • 암이 신체의 다른 부위로 전이되었는지 여부
  • 암 치료의 효과 확인
  • 진단 후 즉시 치료 계획을 세울 때
  • 암 치료 중 화학치료, 면역치료, 방사선치료와 같은 치료법이 얼마나 효과적인지 확인
  • 암 치료가 끝난 후 암의 재발 확인
  • 암 진단 후, 치료 또는 수술을 받기 전

 

암배아항원(CEA) 검사 방법

 

암배아항원(CEA) 검사는 일반적으로 혈액 검사입니다. 환자의 정맥에서 소량의 혈액 샘플을 채취하고 분석하여 CEA 수치를 확인합니다.

 

* 특별한 경우, 정맥이 아닌 아래와 같은 부위에서 체액 샘플을 채취하기도 합니다.

  • 복막액
  • 흉막액
  • 척수(뇌척수액 또는 CSF)

 

암배아항원(CEA) 검사 결과

 

암배아항원(CEA) 검사 결과를 통해 암에 대해 자세히 파악할 수 있습니다. 낮은 CEA 수치는 종양이 작고 신체의 다른 부위로 전이되지 않았음을 의미합니다. 그러나 특정 유형의 암은 CEA를 많이 배출하지 않으며, 특히 뇌와 같은 특정 영역에 국한된 암의 경우 CEA 검사에서 수치가 낮게 나올 수 있습니다. 반대로 CEA 수치가 높으면 종양이 크거나 신체의 다른 부위로 전이되었음을 의미합니다.

 

암배아항원(CEA) 수치

 

암배아항원(CEA)는 일반적인 기준 범위는 혈액 0~2.9ng/mL 입니다. 암배아항원(CEA) 수치가 2.9ng/mL를 초과하면 비정상으로 간주하지만 반드시 암이 있다고 볼 수는 없습니다. 예를 들어 흡연을 하게 될 경우 CEA 수치가 높아질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아래와 같은 건강 상태에서도 암배아항원(CEA) 높게 나올 수 있습니다.

  • 위염 및 위궤양
  • 만성폐쇄성폐질환
  • 간경변, 지방간, 담석과 같은 간 질환
  • 게실염
  • 당뇨병
  • 염증성 질환
  • 염증성 장 질환
  • 치질
  • 폐렴

 

함께보면 좋은 정보

 

 

대장암 증상, 원인, 검사, 병기

대장암이란 대장암은 소화된 음식물을 직장과 몸 밖으로 운반하는데 도움이 되는 긴 관인 대장에서 시작됩니다. 대장암은 대장 내역의 특정 용종이나 종양으로 인해 생기는데, 의료진은 전암성

hyunjun.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