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정보

족저근막염의 정의와 증상, 원인 그리고 치료

by 삶도정 2024. 4. 7.
반응형

족저근막염이란

족저근막염이란 발의 족저근막에 염증이 생긴 것을 의미합니다. 발뒤꿈치 통증의 가장 흔한 원인으로, 족저근막은 발뒤꿈치부터 발의 볼과 발가락까지 이어지는 인대와 유사한 섬유성 부착물입니다. 족저근막은 발들의 뼈를 서로 연결하고 발바닥의 아치모양을 형성해 줍니다.

 

족저근막염은 족저근막을 과도하게 사용하거나 늘어나게 되었을 때 발생합니다. 이 염증이 생기게 되면 걷거나 발을 사용하는 것이 고통스럽습니다. 일주일 이상 발뒤꿈치나 발바닥에 통증이 있다면 병원에서 진료를 받으세요.

족저근막염-부위

족저근막염의 증상

족저근막염은 대체로 발뒤꿈치나 발바닥에 통증을 유발하는데, 무엇을 하는지 또는 시간에 따라 달리 나타날 수 있습니다.

  • 발뒤꿈치 통증
  • 발바닥(아치)의 통증
  • 발뒤꿈치 주위가 붓는 현상
  • 딱딱한 아킬레스건
  • 잠을 자거나 앉았다 일어설 때 통증
  • 발뒤꿈치에 압력을 가할 때 날카롭거나 찌리는 듯한 통증
  • 운동을 하거나 움직일 때 통증

족저근막염의 원인

  • 종일 서서 일하는 경우
  • 운동
  • 단단한 표면에서 일을 하거나 운동을 하는 경우
  • 스트레칭이나 워밍업 없이 운동을 하는 경우
  • 발바닥을 보호해주지 못하는 신발을 신는 경우
  • 집에서 맨발로 걷거나 서 있을 경우
  • 발바닥 아치가 높은 발
  • 평발
  • 비만

족저근막염의 진단

족저근막염은 의사가 증상에 대해 물어보고 발바닥의 근막을 눌러 염증의 여부와 통증 정도를 확인하는 방식으로 진단을 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족저근막염을 진단하기 위해 어떠한 검사도 필요하지 않지만, 다른 문제나 상태가 통증을 유발한다고 의심되는 경우에는 엑스레이, 초음파, MRI를 통해 발 사진을 찍을 수도 있습니다.

 

족저근막염의 치료

일반적으로 통원 치료, 일반 의약품으로 족저근막염을 관리할 수 있습니다. 그 외에도 의사는 증상을 완화하고 재발을 방지하기 위해 다양한 방안들을 제안할 수 있습니다.

  • NSAID: NSAID(아스피린, 이부프로펜)는 통증과 염증을 감소시켜 줍니다.
  • 휴식: 가능하다면 일주일 동안 족저근막염을 유발하는 운동이나 활동을 삼가해야 합니다.
  • 냉찜질: 하루에 2번 10 ~ 15분 동안 냉찜질을 하세요.
  • 쿠션이 좋은 신발: 튼튼하고 쿠션이 좋은 신발을 착용하세요. 아치 지지대가 있지 않은 샌들, 슬리퍼, 플랫 슈즈 등은 신지 마세요.
  • 깔창: 아치 보호를 위해 신발 안에 깔창을 넣으면 좋습니다.
  • 마사지 및 스트레칭: 물리치료사가 알려주는 발과 종아리 근육 스트레칭이나 마사지를 따라 하세요.
  • 코르티코 스테로이드: 코리트코 스테로이드는 항염증제입니다. 의사는 족저근막에 코리트코 스테로이드를 주사할 수 있습니다.
  • 혈소판 풍부 혈장(PRP): PRP는 일반적으로 부상을 치료하고 회복하기 위해 주사로 주입할 수 있습니다.
  • 체외충격파(EPAT): EPAT는 충격파 치료의 한 종류입니다. 발바닥 근막으로의 혈류를 증가시키기 위해 충격파 시술을 할 수 있습니다.
  • 경피적 바늘 건절개술: 바늘로 발바닥 근막을 찔러 평소보다 더 많은 혈액을 발바닥 근막으로 보내, 족저근막의 자체 복구 능력을 자극시킬 수 있습니다.

족저근막염의 예방

족저근막염을 예방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발을 과도하게 쓰지 않는 것입니다.

  • 운동 전후에 스트레칭을 해주세요.
  • 격렬한 활동이나 운동 후에는 발이 휴식을 취하고 회복할 수 있는 시간을 주세요.
  • 쿠션이 좋은 신발을 신으세요
  • 딱딱한 표면이나 바닥을 맨발로 걷지 마세요.
  • 신발을 6 ~ 9개월마다 바꿔주세요.
  • 체중 관리
반응형